집 디자인 2편
집에 꼭 필요한 것들이 있다. 그리고 그 꼭 필요한 것들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있다. 그것들을 간단히 알아보자.
저위에 있는 나의 집짓기 경험담 3편에 적어둔 것을 조금 더 자세히 적어보려고 한다.
단위
가장 기본이 된다. 크게 3가지 단위계가 혼재돼서 쓰인다. 미터법, 인치법, 척관법(평, 근.. 등)
- 미터법
- 길이 : 미터, 센티미터, 밀리미터
- 면적 : 평방미터, 평방센티미터
- 부피 : 입방미터, 입방센티미터
- 무게 : 톤, 킬로그람, 그람
- 인치법
- 길이 : 피트(12인치), 인치(2.54cm)
- 면적 : 평방피트, 평방인치
- 부피 : 입방피트, 입방인치
- 무게 : 파운드
- 척관법
- 길이 : 장(10자, 약 3.03미터), 길(또는 보, 약 1.8미터), 마(약 90cm), 자(또는 척, 10치, 약 30.3cm), 치(또는 촌, 약 3cm)
- 면적 : 정보(10단보), 단보(300평), 평(3.3 평방미터, 6자 x 6자)
- 부피 : 섬 (10말), 되(10홉), 홉(0.18 리터, 일반적인 소주병이 2홉정도임)
- 무게 : 관(100냥), 근(육류는 500 또는 600그람, 과일이나 채소는 375그람), 냥(1/16근), 돈(1/10냥)
거기에다가 현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쓰는 단위들도 있다. 시멘트 10포 필요한 바닥면적(실제로는 타설되는 두께가 있으니 부피단위다.)이라든가, 벽돌 2트럭 분량의 벽면(면적)이라든가, 지게차 한번 뜰 정도의 벽돌이라든가 …
이 단위들에 숙지하여야 한다. 적어도 건축업자가 얘기하는 것을 듣고 계산기로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모르겠으면 그게 뭐냐고 그 자리에서 바로 업자에게 물어보라.
공간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고 그 내부의 공간을 통칭해서 집이라고 부른다.
집에 필요한 공간은 방, 거실, 부엌, 화장실, 그 외 공간 정도가 된다. 이것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를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씨리즈도 이 공간을 어떻게 배치할 건지가 주제다.
이것저것 많이 넣으면 좋은데, 어떤 공간이 필요할지는 스스로 생각해보자. 일단 반드시 필요한 공간은 방, 거실 겸 부엌, 화장실 정도다.
일단, 방부터 정리하자. 잠을 자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책을 보거나 놀이의 공간이 될 수도 있다.
부부가 자녀 2명을 키운다고 할 때, 자녀가 동성이면 최소한 방 2개가 있어야 하고, 자녀의 성별이 다르면 어려서야 상관없지만, 초등학교 고학년쯤 되면 방을 다르게 해주어야 하니 방 3개가 있어야 한다. 거기에다가 가끔 부모님이 오신다거나 친척들이 놀러온다거나 할 때 지낼 방을 하나 더 생각한다면 방 4개는 있어야 한다. 또는 거실을 방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거실은 가족이 모여서 얘기하고, 티비를 보고, 책을 보고, 게임도 하고, 놀이를 하고 쉬는 공간이다. 관점에 따라서는 방보다 중요한 공간이 거실이다. 요즘에는 방은 크기를 줄이고 거실을 크게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부엌, 주방 공간은 매우 중요하다. 음식을 하고, 식사를 하고, 설거지를 하는데, 음식 냄새도 나고 요리를 하면서 열(또는 불)을 사용하므로 위험한 공간이 되기도 한다. 대개는 거실과 붙어 있지만, 앞에서 말한 이유로 거실과 어느 정도는 구분되어야 한다.
화장실이 없는 집은 생각하기도 끔찍하다. 반드시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욕조를 없애고 샤워부스를 설치하여 비용과 공간을 아끼는 추세이지만, 화장실이 2개 이상이라면 한곳에는 욕조가 있는 게 좋다고 본다. 욕조가 있든 없든 화장실은 물을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방수가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단열도 중요하다. 겨울에 목욕하고 나왔는데, 단열이 좋지 않아서 매우 춥다면 … 또, 물을 사용하는 공간인데, 단열이 안 돼서 겨울에 배관이 얼어서 터질 수도 있다.
여기에 부가적으로 각종 수납공간이 필요하고, 현관이 필요하며, 보일러 놓을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취미가 목공 등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라면 이번 기회에 집 밖에 작업장을 작게라도 만들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도 좋다. 나중에 그 공간이 창고로 전락하더라도 ….
컴퓨터가 취미이고, 관련 부품이나 전자제품이 많다면 작은 공간을 거기에 할당하는 것도 좋다고 본다. 내 경우는 안방에 딸린 화장실 대신 그 공간을 작은 창고로 만들고 거기에 옷장과 컴퓨터 부품, 책을 넣어두고 있다. 원래 디자인대로라면 1층에 샤워 부스가 설치된 화장실, 2층에 욕조가 있는 화장실, 2층 안방에 샤워 부스가 있는 화장실, 이렇게 화장실이 3개가 배치되는데, 안방에 화장실 대신 나만의 공간(!)을 만들어 두었다.
냉난방
사계절이 뚜렷하다는 건,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뜻이다. 여름엔 더워도 선풍기 틀고 창문 열어두고 샤워하면서 보내면 어떻게든 보낼 수 있지만, 난방없이 겨울을 보낸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난방은 대개는 보일러로 하는데, 각 보일러의 장단점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종류 | 장점 | 단점 |
---|---|---|
가스보일러 | 설치가 간단하다. | 도시가스라면 연료비도 적게 든다. |
기름보일러 | 설치가 간단하다. | 연료비가 많이 든다. |
연탄보일러 | 설치 간단, 유지비가 적게 든다. | 연탄 저장공간이 따로 필요하고, 연탄재 처리가 어렵다. |
목탄보일러 | 설치가 간단하다. | 연료비용은 적게 드는 대신, 유지 보수 비용이 생각보다 크고, 나무 적재 공간이 필요하다. |
지열보일러 | 연료비가 적게 들고, A/S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 설치가 복잡하고, 초기 설치비가 많이 든다. |
태양열 보일러 | 연료비가 거의 안든다. | 초기 설치비가 많이 들고, 겨울철 날씨에 따라서 보조 난방방식이 필요하다. |
* 여기서 태양열 보일러는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게 아니라, 태양열로 물을 데워서 난방하는 방식을 뜻한다.
현실적으로 유지관리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도시가스가 들어온다면 도시가스를 쓰는 게 가장 저렴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대부분은 기름보일러를 쓰는 경우가 많다.
우리집은 지열보일러를 설치했고, 난방비용은 상당히 적게 드는 편에 속한다. 물론, 초기 설치비가 다른 방식에 비해서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은 있지만, A/S 가 5년으로 다른 난방방식은 보통 1년, 가끔 2년짜리가 있는 것에 비해서는 훨씬 길다.
단위에 대해서 어느정도 감이 잡혔고, 공간배치에 대해서 자신이 필요한 것이 어떤 것인지 확신이 서고, 난방 방식을 결정했다면 이제 남은 건 그것을 구체화하는 것이 남았다. … 자.. 이제 시작이다.
2015/10/13 akp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