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_집짓기_경험담_12편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나의_집짓기_경험담_12편 [2014/07/02 09:57] – akpil | 나의_집짓기_경험담_12편 [2014/10/11 07:43] (현재) – akpil | ||
---|---|---|---|
줄 10: | 줄 10: | ||
===== 어디에 ? ===== | ===== 어디에 ? ===== | ||
- | 사람이 사는데 꼭 필요한 게 있다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 + | 사람이 사는데 꼭 필요한 게 있다면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
==== 직장 ===== | ==== 직장 ===== | ||
줄 20: | 줄 20: | ||
부동산 광고에서 나오는 서울까지 30분 .. 이런 건 믿지 말자. 직접 자기가 다녀보아야 한다. 심지어 내가 살고 있는 동네에 얼마전에 지어진 아파트 광고도 보면 서울 도심권까지 35분 이라고 되어 있다. 도심권을 어디로 보느냐도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 부동산 광고에서 나오는 서울까지 30분 .. 이런 건 믿지 말자. 직접 자기가 다녀보아야 한다. 심지어 내가 살고 있는 동네에 얼마전에 지어진 아파트 광고도 보면 서울 도심권까지 35분 이라고 되어 있다. 도심권을 어디로 보느냐도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 ||
- | 이런 곳이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내가 알아본 곳들은 상당히 비쌌다. 물론, 나는 회사가 서울은 아니니 | + | 이런 곳이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내가 알아본 곳들은 상당히 비쌌다. 물론, 나는 회사가 서울은 아니니 서울이 기준은 아니었다. |
==== 학교 ===== | ==== 학교 ===== | ||
줄 48: | 줄 48: | ||
----------- | ----------- | ||
- | ===== 누구와 ? ===== | + | ===== 누구와 |
- |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누구냐라는 걸 확인해야 한다. 사람마다 관점이 다르겠지만, | + | 당연히 집에서 가족과 살 것이지만, |
집성촌은 특징상 그 동네가 어떤 씨족의 일가친척집단이다. 옆집에 사촌, 그 옆집은 삼촌, 저기 마을 입구는 당숙 아저씨 ... 그러다보니 외지인에 대해서 상당히 배타적인 경우가 많다. 물론, 지나가다가 잠깐 들른다거나 하는 걸로는 파악하기 힘들다. | 집성촌은 특징상 그 동네가 어떤 씨족의 일가친척집단이다. 옆집에 사촌, 그 옆집은 삼촌, 저기 마을 입구는 당숙 아저씨 ... 그러다보니 외지인에 대해서 상당히 배타적인 경우가 많다. 물론, 지나가다가 잠깐 들른다거나 하는 걸로는 파악하기 힘들다. | ||
줄 58: | 줄 58: | ||
마을에서 어떤 것을 결정해야 할 때 (예를 들어서 봄에 꽃놀이 가자.) 자기네들끼리 다 결정해놓고 통보만 해준다거나, | 마을에서 어떤 것을 결정해야 할 때 (예를 들어서 봄에 꽃놀이 가자.) 자기네들끼리 다 결정해놓고 통보만 해준다거나, | ||
- | 그러니, 웬만하면 새로 조성되는 전원주택 단지 또는 마을로 들어가는 게 편하다. 대부분 30 ~ 40대 정도의 그래도 비슷한 연배일 것이고, 그쪽으로 이사오는 목적도 비슷한 경우가 많다. | + | 나이드신 분들이 대부분인 동네도 유사하다. 다만, 배타적인 것보다는 힘쓰는 일에 여기저기 불려다닐 수도 있고,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온갖 참견을 다 하실 수도 있다. 부부싸움 한번 하면 동네에 금방 소문 나서 길가는데 할머니들이 몰려와서 왜 싸웠느냐고 물어보고 조언을 해주실 수도 있다. 물론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는 참견이 된다. 물론, 그런 것에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거나 그런 게 좋다라면 그것도 괜찮다. 동네에서 사랑받으면서 살 수 있다. |
+ | |||
+ | 일반적으로는 도시에서 살던 사람은 | ||
----------- | ----------- | ||
줄 85: | 줄 87: | ||
그런데, 연봉 4 ~ 5천만원에서 1천만원 가까운 돈을 갚으면서 살면 상당히 팍팍할 것 같다. | 그런데, 연봉 4 ~ 5천만원에서 1천만원 가까운 돈을 갚으면서 살면 상당히 팍팍할 것 같다. | ||
- | |||
- | ==== 건축업체 ==== | ||
- | |||
- | 어떤 건축업체를 선정해서 계약할지의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집을 잘 지어줄 곳인지, 내 요구사항을 잘 들어줄 곳인지, 아버지 친구분이라서 거기서 할 건지, 친구가 건축회사를 해서 거기서 할 건지 등등 ... 하지만, 그 모든 것을 우선하는 게 있다. 바로 회사의 안정성이다. 얼마나 튼튼한 회사인지, | ||
- | |||
- | 요 몇년동안 부동산 시장이 하향세다보니 건설업계가 상황이 좋지 않다. 아마도 계속 이런 하향세는 지속될 것 같다. 이 말을 좀 다르게 쓰면 하루에도 건설업체 수십 곳이 부도가 난다는 얘기다. 이게 남의 얘기가 아니다. 내 집을 짓고 있던 업체가 부도가 나거나, 나는 업체에 비용을 지급했는데, | ||
- | |||
- | 대형 건설사들은 전원주택 몇채 짓는 것에는 별로 관심도 없다. 적어도 수십 가구쯤 있는 전원주택단지를 조성하는 것에는 관심이 있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이런 곳은 상당히 비싸다. | ||
- | |||
- | 어떤 절대적인 기준은 없지만, 내가 검토했던 건 이런 내용들이다. | ||
- | |||
- | - 회사가 얼마나 됐는가 | ||
- | * 가급적 설립된지 3 년 이내의 회사는 피한다. | ||
- | * 웬만하면 10년 이상 유지되어 온 회사를 고른다. | ||
- | * 홈페이지 또는 회사에 포트폴리오가 있는 곳을 방문하여 직접 확인한다. | ||
- | |||
- | - 재무상황은 어떤가 ? | ||
- | * 그 회사의 재무제표, | ||
- | * 그 외에 http:// | ||
- | * 저곳에서 검색이 안된다면 일단 회사에 요구를 하자. 회사에서 뭘 그런 걸 따지느냐 .. 우리를 못 믿는 거냐 라고 한다면 미련없이 돌아서 나와라. 대개 몇번 튕기다가 준다. | ||
- | |||
- | - 시공 능력은 어떤가 ? | ||
- | * 그 회사에서 지었다는 집을 직접 몇곳 다니면서 확인하자. 몇곳 다녀보면 대충 그 업체의 기술력을 알 수 있다. | ||
- | * 건축 전시회 등에 출품했었는지 확인하자. 코엑스나 킨텍스, 세텍 등에 건축박람회 등을 검색해서 해당업체가 참석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참석했다면 어떤 분야에서 참석했는지도 확인하자. | ||
- | |||
- | - 현재 상태는 어떤가 ? | ||
- | * 지금 짓고 있다는 현장을 몇곳 방문해서 원활히 돌아가는지 점검하자. 직원수 20명쯤 되는 소규모 건축업체가 그래도 원활하게 돌아가려면 현장이 3곳은 있어야 한다. (전원주택단지에서 건물 3개를 짓고 있어야 한다는 게 아니라, 주택단지 3개 또는 상가건물 1곳, 토목공사 1곳, 주택단지 1곳 .. 이렇게 .. 3곳..) 물론, 겨울 등의 계절적 요인으로 1,2 곳만 있을 수는 있다. 그럴 땐 어떤 곳에 지었었는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자. | ||
- | |||
==== 추가비용 ==== | ==== 추가비용 ==== | ||
줄 119: | 줄 93: | ||
이것 말고도 거의 다 짓고나서 건축업체에서 비용이 더 들어갔다며 돈을 추가로 달라는 경우도 있고, 심한 경우는 돈을 더 주지 않으면 건축행위를 중단하거나 행정업무(명의 변경, 준공검사 등등...)를 중단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일은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발생하더라도 돈을 더 주어서는 안되지만, | 이것 말고도 거의 다 짓고나서 건축업체에서 비용이 더 들어갔다며 돈을 추가로 달라는 경우도 있고, 심한 경우는 돈을 더 주지 않으면 건축행위를 중단하거나 행정업무(명의 변경, 준공검사 등등...)를 중단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일은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발생하더라도 돈을 더 주어서는 안되지만, | ||
+ | |||
+ | -------------- | ||
+ | |||
+ | 대략 이런 정도가 있을 것 같다. 오늘 현재, 도배에 들어갈 벽지 고르고 있다. ... 아 뭐 이리 많냐... | ||
----------- | ----------- | ||
2014/07/02 akpil | 2014/07/02 akpil | ||
+ | |||
+ | 2014/10/11 1차 수정 akpil | ||
나의_집짓기_경험담_12편.140426265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4/07/02 09:57 저자 akp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