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은 개뿔 ... 제사, 차례 ..... 두번째 글이다. 대한민국에서 현 시점에서 진행되는 차례나 제사의 양식은 조선시대 후반부터 그 양식이 어느정도 정해진 것에 따르고 있다. 물론, [[전통은_개뿔_1|전통은 개뿔 1편]] 에서 언급하였듯이 무슨 음식을 어디에 놓고 .. 이런 것까지 포함해서... 조선은 유교의 나라였고, 유교는 종교이지만, 유학이라는 학문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리고, 그 유학의 한 부분인 성리학, 그리고 주자학에 기반을 두었던 게 조선이다. 당연히 제사/차례 양식은 주자학에 기반을 둔다. 그 기반이 되는 것이 바로 주자학의 창시자인 주자가 썼던 "주자가례" 이다. 대학교때 어쩌다가 들었던 과목에서 말 그대로 공자왈 맹자왈 하는 것을 들었고, 그 중 2,3 시간 정도에 걸처서 주자가례에 대해서 배운 적이 있다. 물론, 완전히 주마간산도 아니고 .. 그냥 목차 정도나 훑어보는 것이었지만, 그게 재미나게 느껴져서 몇 챕터(?)는 찾아서 읽은 적이 있다. (당연히 한자로 된 것 말고, 한글로 해설된 것... ) 그런데, 이 주자가례는 주자가 다 쓴 게 아니다. 그 이전부터 내려오던 사마광이 쓴 책(이름이 기억 안나네...)을 참조해서 거기에 살을 더 붙인 책이다. 사마광은 자치통감이라는 역사책을 쓰는데 주관했던 사람이다. 자치통감은 리디북스에서 전자책으로도 저렴한 가격(이라고 하긴 좀 뭐하긴 한데..)으로 살 수 있으니 한번 찾아 보면 된다. 다시 주자가례로 돌아가서 보면 ... 례 .. 라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집에서 이루어지는 (여기서 집은 꼭 개인의 집만을 뜻하는 건 아니다.) 관혼상제, 예의, 예절, 그리고 그게 왜 필요한지, 왜 그렇게 됐는지도 적혀 있다. 고기는 원래 생고기를 올리도록 되어 있다. 지금처럼 찌거나 삶거나 구운 고기를 올리면 안된다. 하지만, 현재의 제사/차례상에 생고기가 올라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왜 제사를 지내는지에 대해서도 나오는데, 그에 앞서서 귀산과 영혼에 대해서 적지 않게 나온다. (사실 이게 관심 있어서 주자가례를 읽었었다.) 그리고 ... 뭐 이따구 설정이 다 있나 싶을 정도여서 그냥 재미있게 읽고 끝냈다. 유교의 제사는 귀산에게 지내는 거다. 그 귀신이 자연의 정령이나 동물의 혼이 아닌 조상의 혼과 백 (혼백이라고 붙여서 쓴다. 혼과 백은 서로 다른 존재다. 혼은 정신, 영혼이고, 백은 그 정신이나 영혼이 외부로 드러날 때 보이는 것을 뜻한다. 혼은 양의 성질을, 백은 음의 성질을 갖는다고도 한다. 그러나... 이게 같은 유교내에서도 책마다 설명하는 게 다르다... ) 을 대상으로 한다. 지금 생각해 보면 예전에 유행했던 도서대여점 판타지 소설의 설정이 저것보다는 정교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건 그거고 ... 이 조상의 혼백에게 제사를 지내는 게 유교에서의 제사다. 이게 근데, '귀족' 만 혼백이 있다고 했다. 정확히는 혼백은 신이 되고, 이 신에게 제사지내는 게 유교에서 말하는 제사다. 그러니깐 조상이 신이 되는 게 유교의 종교관의 한 축이다. 그런데... 유교 초기에는 왕족만 죽어서 신이 된다고 했었다. 그러다가 ... 고려말, 조선초에는 귀족, 그러니깐 조선에서는 사대부라고 불렀던 계층의 조상만 신이 된다고 믿었다. 그래서 양반만 제사를 지낼 수 있었다. 일반 평민이나 노비, 천민은 제사를 지낼 수 없었다. 왜 ? 조상의 혼백이 신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 .. 그런데.. 이 혼백에도 유효기간이 있다. 제사를 보통 4대까지 지낸다. 왜냐하면 한 세대를 30년 정도라고 봤을 때 4대 위면 대략 120년이기 떄문이다. 즉, 혼백이 신으로 존재할 수 있는 기간은 120년인 셈이다. 무슨 신이 120년짜리 신이 있다는 건지 ... 뭔 설정이 이렇게 엉성한지는 모르겠다.. 만 어쨌든 그렇다고 한다. 제사나 차례를 지내는 것을 말릴 생각은 없다. 하지만 강요하지는 말자. 특히 정성입네 어쩌네 ... 하는 개풀 뜯어 먹는 소리는 하지 말자... 그냥 식구들끼리 모여서 평소에 못한 애기나 좀 하고 고기(채식 좋아하시는 분은 채소)나 구어먹자. 괜히 오랫만에 본 친척이라고 온갖 참견질하지 말자.... -------------------- 2016/09/15 akpil